동료 분들이랑 대화를 하다가 JPA의 N+1 문제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습니다.사실 그동안은 N+1 문제에 대해 제대로 탐구해보지는 않았고, 면접 단골 문제라기에 그저 암기해 둔 수준에 불과했습니다.근데 대화를 하다 보니까 각자 정확한 문제 정의부터, 원인, 해결 방법까지 이해하고 있는 게 서로 조금씩 다르더라고요.혹시 제가 이해하고 있는 바가 틀릴 수도 있겠다는 생각과 명확하게 정리를 해놓고자 가볍게 자료들을 찾고 있었는데, 아래와 같이 저를 헷갈리게 하는 말들이 너무 많았습니다. "`LAZY` 때문에 N+1 문제가 발생한다.""`EAGER` 때문에 N+1 문제가 발생한다.""`EAGER`가 N+1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EAGER`로 로딩하면 `JPQL` 사용 시 N+1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