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 2

데이터베이스 I/O와 스캔 메커니즘

학부생인 아는 분이랑 온라인 스터디 같이 하다가 나눈 얘기가 있습니다.그분이 학교 축제에 츄가 왔는데, 츄가 본인을 보면서 환하게 웃어줬다면서 너무 좋아하시는 거예요.거의 뭐 사랑에 빠진 것처럼 푹 빠져있으시길래 제가 얘기해 드렸죠.그거 츄가 님을 인덱스 스캔한 게 아니라 풀 테이블 스캔 하는 중이었는데 마침 님이 그 테이블에 있었던 거라고. 인트로에 쓸 말이 없어서 쓸데없는 얘기 좀 해봤고요.그런 의미에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데이터베이스의 I/O 작업과 데이터 스캔 메커니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00. 데이터베이스 저장 구조01. Sequential Access vs Random Access02. Single Block I/O vs Multi Block I/O02. Table Full..

Database 2025.05.20

데이터 일관성을 위한 트랜잭션 격리 수준 (Isloation Level) 알아보기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데이터에 동시에 접근할 때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전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지키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높은 성능을 유지해야 하는 이 어려운 균형을 잡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는 트랜잭션이라는 개념이 존재합니다.  트랜잭션이 데이터를 읽고 쓰는 수많은 요청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그리고 한 트랜잭션 작업이 다른 트랜잭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트랜잭션의 격리 수준 (Isolation - Level) 이라고 합니다.  # 00. About Transaction 트랜잭션의 격리 수준을 알아보기 전에 먼저 트랜잭션의 정의를 살펴봅시다.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Database Transaction)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또는 유사한 시스템에서..

Database 2025.03.22